<p></p><br /><br />박 총경이 호화 리조트에 드나든 행적도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자기 돈으로 갔으면 문제가 없겠지만, <br> <br>친분이 있는 건설업자가 비용을 대납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. <br> <br>이어서 박선영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경남 남해에 있는 대형 호화 리조트입니다. <br> <br>골프장과 스파는 물론, 여러개의 고급식당도 갖춰져 있습니다. <br> <br>성수기가 아닌데도 인터넷에 올라온 이곳의 숙박요금은 하루 50만 원이 넘습니다. <br> <br>[○○리조트 관계자] <br>"저희가 판매했던 제일 높은 날짜가 조식 포함해서 96만 5400 원이었고요. 보통 주중으로 하시면 60만원대까지 금액이 떨어지긴 하거든요." <br> <br>박 총경은 이 호텔에 수차례 숙박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객실료를 계산한 사람이 박 총경이 아니라, <br> <br>한 건설업자였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. <br> <br>박 총경이 대장으로 근무했던 지능범죄수사대는 기업 비리를 수사하는 곳입니다. <br> <br>[주영글 / 변호사] <br>"금액과 관계없이 직무에 관해 받은 돈이라는 점이 입증되면 뇌물수수죄가 성립합니다. 직접 직무 뿐 아니라 직무행위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경우까지…" <br> <br>경찰은 박 총경 이력에 주목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능범죄수사대장으로 부임하기 직전까지 해당 리조트가 위치한 경남 남해경찰서장을 지냈습니다. <br> <br>경찰은 박 총경의 비위 의혹들을 정식 수사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선영입니다. <br> <br>tebah@donga.com <br>영상취재: 박남수(스마트리포터) <br>영상편집: 김문영